2015. 3. 2.

GrassHopperFS(GHFS) 용량 및 성능 확장




  • Config. A : 두 대의 서버에 용량은 24TB를 가짐 1GB 네트워크에서 초당 200MB의 성능을 표현 함.
  • Config. B : Config. A와 같은 상황에서 각 서버에 용량을 4TB씩 증설 함. 이 경우에는 용량이 24TB에 8TB가 추가 되어
    32TB로 늘어남. 성능에는 변화 없이 초당 200MB를 유지함.
  • Config. C : Config. A와 같이 24TB의 용량을 가지고 있지만 서버가 4대로 늘어남. 그러나 서버 대 수가 늘어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2Gb(두 대의 서버)가 추가 되면서 성능이 초당 400MB로 더 좋아짐.

GrassHopperFS(GHFS) 구성도 -예시-





스토리지 구성 정보

  • Disk : 4TB 7.2K * 64EA
  • Usable capacity : Group당 80TB 이상
  • Disk Group : Group당 Disk 36EA 구성
  • Raid 5(3D+1P)
  • Hot Spare : Global Spare (4TB * 3EA)
  • 스토리지의 Raid Group을 나눔으로서 스토리지 Disk Box 장애시 GHFS 서비스 Down 방지.

GrassHopperFS(GHFS) 어플라이언스

GHFS는 오픈 소스 기반의 분산 파일 시스템에, 모니터링 솔루션과 통합관리 솔루션을 당사에서 순수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 구축과 모니터링 등 다양한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제품 입니다.


GHFS Monitor 특징



  • 주요 모니터 항목
GHFS Volume 상태 정보
GHFS Node 상태 정보
-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사용 현황 
  • 일목요연한 모니터링 시스템
- 다양한 차트 및 테이블을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환경 제공
- 호스트 시스템에서 발생한 초신 이벤트를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통합  DashBoard 기반
- 분산 환경의 자원들을 한 화면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상세한 성능 수집 정보
  • GHFS Node의 OS, Kernel, 네트워크, CPU, Memory 사용량 추이,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Brick) 사용량 추이를 모니터링
  • 네트워크와 스토리지 사용 현황을 일간, 주간, 월간 형태로 실시간 차트로 모니터링
  • 리포트 저장 기능
- Excel, Word, PDF의 파일 포맷으로 저장 가능
- 전체 서버의 네트워크와 스토리지 사용 현황을 실시간 차트로 볼 수 있으며, N by N 형태로 지정해서 매트릭스 형태로 모니터링
  • 실시간 이벤트 통보 시스템
  • 이벤트 발생 시 알람 기능(CS 버전)
  • Event List를 통해서 GHFS에서 발생하는 각종 Event 정보를 실시간을 확인하고 이벤트 메시지나 레벨, 기록 된 기간을 통해 이전 이벤트 검색 가능


GHFS Management 특징



  • 통합 관리 시스템
대규모 서버 및 스토리지를 통한 분산 파일 시스템을 구성, 관리하기 위한 중앙 집중화 된 통합 관리 시스템
- Node 추가, 볼륨 생성, 변경, 삭제의 실시간 적용 및 간편 조작으로 관리 기능
- 볼륨 및 자원의 구성 변경을 온라인 상태에서 지원하며, 실시간 장애 확인  및 조치 가능
- 자동 설치 옵션으로 빠르게 분산 파일 시스템 인프라 구축 가능
  • Web-GUI 기반의 관리 기능
시스템 구성 현황과 볼륨 구성 현황을 도식화하여 해당 UI에서 모든 작업이 가능한 구성
- Task 이력 전체를 관리하여 작업의 진행 상황 및 결과를 "Task" 항목에 표시하여 직관성을 향상
  • 사용자 권한에 따른 자동 메뉴 구성
Admn 권한과 User 권한을 분리하여 login 시점에 권한에 따라 자동으로 메뉴을 다르게 구성
- Admin 권한은 GHFS구성을 위한 Node, 볼륨, Brick의 추가, 삭제, 변경 할 수 있는 기능과 환경 설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 자동 설치 기능 제공
자동 설치 대상 목록을 표시하고 원하는 설치 대상 패키지를 선택하여 선별적으로 자동 설치
- 자동 설치 노드를 선택 할 수 있고, 각 노드에서 설치가 진행 되고 있는 상태와 패키지를 표시하고 설치 작업 진행률과
  소요 시간을 표시하여 가동성 향상 시킴